라우터 (Router)
-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달 경로 설정
- IP 주소 기반 목적지 판단
- 패킷을 최적 경로로 전달
- 여러 네트워크 연결 시 사용
- 네트워크 장치(L3)
- 예: 가정용 공유기 → 내부 기기와 인터넷 연결
홉 (Hop)
- 패킷이 라우터를 한 번 지나는 과정
- 한 라우터 → 다음 라우터까지 이동 = 1홉
- 홉 수가 많을수록 경로가 멀고 지연 가능성 증가
- 예: PC → 라우터1(1홉) → 라우터2(2홉) → 서버
라우팅 (Routing)
- 패킷의 목적지까지 전달 경로 결정
- 라우터가 목적지 IP 기준으로 경로 선택
- 정적 라우팅: 수동 설정, 고정 경로
- 동적 라우팅: 라우팅 프로토콜로 자동 경로 설정
- 라우팅 테이블: 목적지별 최적 경로 저장
- 예: PC → 라우터1 → 라우터2 → 서버
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- 호스트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
-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IP 받음
- DNS, 게이트웨이 등 설정도 함께 전달
- 예: 공유기가 집의 모든 기기에 IP 자동 부여
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- IP 주소 → MAC 주소로 변환
- 같은 네트워크 내 장치 간 통신 시 사용
-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로 MAC 주소 요청(동일 네트워크에 모든 장비에 요청)
- 예: 192.168.0.5 → MAC 주소? → ARP 응답(유니캐스트 메시지)
DNS (Domain Name System)
-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
-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이름 사용 가능
- 예: www.google.com → 142.250.206.132
- 웹 접속, 이메일 등 다양한 서비스에 필수
도메인 구조
- Third-level Domain: 서브도메인
- 도메인 이름의 맨 앞부분
- 예: www.google.com (→ "www"가 Third-level)
- Second-level Domain: 주 도메인 이름
- 도메인 이름의 중간 부분, 기업/사이트 고유 이름
- 예: www.google.com (→ "google"이 Second-level)
- Top-level Domain (TLD): 최상위 도메인
- 도메인의 마지막 부분
- 예: www.google.com (→ "com"이 TLD)
- 종류: 일반(gTLD, 예: com, net), 국가(ccTLD, 예: kr, jp)
DNS 영역 파일 레코드
- A 레코드: 도메인을 IPv4 주소로 매핑
- 예: example.com → 192.168.1.1
- AAAA 레코드: 도메인을 IPv6 주소로 매핑
- 예: example.com → 2001:db8::1
- CNAME 레코드: 별칭 도메인을 실제 도메인으로 연결
- 예: www.example.com → example.com
- MX 레코드: 메일 서버 정보 지정
- 예: example.com의 메일 수신 서버 지정
- NS 레코드: 해당 도메인을 관리하는 네임서버 지정
- 예: example.com → ns1.exampledns.com
- TXT 레코드: 텍스트 정보 저장용
- 도메인 소유 확인, SPF 인증 등에 사용
- SOA 레코드: 영역(zone)의 시작 정보
- 네임서버, 관리자 이메일, 캐시 시간 등 포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