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AN (Local Area Network)
- 근거리 네트워크
- 사무실, 집, 학교 등 일정 범위 내 장비 연결
- 유선 또는 무선 방식 포함
- 동일한 네트워크ID를 공유하는 장치들의 집합적 공간
- 동일한 게이트웨이 주소를 사용하는 장치들의 집합적 공간
NIC (Network Interface Card)
-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한 장치
- 호스트를 네트워크(LAN)에 연결하는 장비
- MAC 주소를 인식가능
MAC (Media Access Control)
- 네트워크 장비 고유 식별 주소(중복X)
- 이더넷 카드에 내장된 48비트 주소
-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사이에서 동작
- 동일 네트워크 내 데이터 전송 시 사용
- 예: 00-14-22-01-23-45 (MAC 주소 예시)
이더넷 (Ethernet)
- 유선 LAN 기술의 표준
- 여러 장치가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유선 네트워크
주요 프로토콜 포트 번호
- HTTP: 80
- HTTPS: 443
- FTP: 21 (파일 전송 제어용)
- SSH: 22 (원격 접속)
- Telnet: 23 (텍스트 기반 원격 접속)
- SMTP: 25 (이메일 발송)
- POP3: 110 (이메일 수신)
- IMAP: 143 (이메일 수신, 서버 동기화)
- DNS: 53 (도메인 이름 해석)
- DHCP: 67(서버), 68(클라이언트)
쿠키 (Cookie)
-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에 저장되는 데이터
- 서버가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면 이후 요청마다 해당 쿠키를 서버에 자동으로 포함시켜 전송
- 사용자 식별 정보나 설정 정보 저장
- 매 요청마다 서버에 자동 포함되어 전송
- 만료일 지정 가능
- 예: 자동 로그인, 장바구니 유지
세션 (Session)
- 서버에 저장되는 사용자 상태 정보
- 클라이언트에는 세션 ID만 저장
- 일정 시간 비활성 시 자동 만료(브라우저 종료 시)
- 쿠키와 세션은 HTTP의 무상태성(stateless)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
- 예: 로그인 상태 유지
프록시 서버 (Proxy Server)
-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한 중계 서버
- 보안, 캐싱, 트래픽 분산 등에 사용
- 사용자 IP 숨김 가능
- 예: 기업 내부망에서 인터넷 접속 중계
캐시 (Cache)
-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
- 속도 향상, 서버 부하 감소
IP 주소 (IP Address)
- 네트워크 내 장치의 고유 식별자
- IPv4: 32비트 (예: 192.168.0.1)
- IPv6: 128비트 (예: 2001:0db8::1)
IPv4 vs IPv6 (인터넷 프로토콜)
- 주소 길이: IPv4 → 32비트 / IPv6 → 128비트
- 주소 수: IPv4 → 약 43억 개 / IPv6 → 사실상 무한
- 표기 방식: IPv4 → 점(.)으로 구분된 10진수 / IPv6 → 콜론(:)으로 구분된 16진수
- 예시: IPv4 → 192.168.0.1 / IPv6 → 2001:0db8:85a3::8a2e:0370:7334
- IPv6는 자동 설정, 보안 기능 등 향상됨
공인 IP주소 vs 사설 IP주소
- 공인 IP: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IP
- 사설 IP: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, 인터넷 직접 연결 불가
- 공인 IP 예: 203.0.113.1
- 사설 IP 예:
- 10.0.0.0 ~ 10.255.255.255
- 172.16.0.0 ~ 172.31.255.255
-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
- 공인 IP는 유일, 사설 IP는 중복 가능
- NAT: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
정적 IP vs 동적 IP
- 정적 IP: 고정된 IP 주소, 변경되지 않음
- 동적 IP: DHCP 서버가 자동 할당, 재접속 시 변경 가능
- 정적 IP 사용 예: 서버, CCTV, 고정된 리소스 식별
- 동적 IP 사용 예: 일반 사용자 PC, 스마트폰
- 정적 IP는 설정 필요, 동적 IP는 자동 설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