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라우드 관리 및 운영 방식

2025. 5. 13. 22:23·Cloud

CLI (Command Line Interface) vs Management Console

  • CLI:
    •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제어
    • 스크립트 자동화, 고급 사용자에게 유리
    • 예시: AWS CLI, Azure CLI
  • Management Console:
    •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(GUI)를 통해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제어
    • 초보자에게 친숙, 시각적 관리 용이

SPK (Software Packaging Kit)

  • 소프트웨어 패키징 및 배포를 위한 도구
  • 소프트웨어의 설치, 업데이트, 제거를 효율적으로 관리
  • 예시: Synology NAS의 SPK 패키지

CI/CD (Continuous Integration / Continuous Deployment)

  • CI (지속적 통합): 개발자가 코드를 자주 병합하고, 자동 테스트를 통해 문제를 빠르게 발견
  • CD (지속적 배포 또는 제공): 테스트가 완료된 코드를 자동으로 운영환경에 배포
  • 코드 변경 → 자동 빌드 → 자동 테스트 → 자동 배포 흐름
  • 장점: 배포 자동화, 인적 오류 최소화, 빠른 피드백, 릴리즈 속도 증가
  • 대표 도구: Jenkins, GitHub Actions, GitLab CI, CircleCI, AWS CodePipeline
  • 예시: GitHub에 push하면 → 자동 빌드 및 테스트 → 서버에 배포까지 자동 실행

'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클라우드 컴퓨팅,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  (0) 2025.05.29
Containers, Orchestration  (0) 2025.05.13
가상화와 실행 환경  (0) 2025.05.13
Cloud Native Application  (0) 2025.04.29
Cloud Model 및 특징 이해  (0) 2025.04.29
Cloud의 이해  (0) 2025.04.29
'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클라우드 컴퓨팅,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
  • Containers, Orchestration
  • 가상화와 실행 환경
  • Cloud Native Application
jaeon.cloud
jaeon.cloud
  • jaeon.cloud
    JEONG JAE ON
    jaeon.cloud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60)
      • Docker (8)
      • Cloud (7)
      • AWS (14)
      • Network (9)
      • Linux (1)
      • Python (7)
      • Javascript (3)
      • React (5)
      • Project (3)
      • Kubernetes (3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  • 방명록
  • 링크

    • GitHub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태그

    클라우드
    네트워크
    react
    docker
    Python
    3-tier Architecture
    kubernetes
    http
    cors
    AWS
    lambda
  • 최근 댓글

  • 최근 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jaeon.cloud
클라우드 관리 및 운영 방식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